바쁜 현대인들에게 자기 국가를 사랑하는 애국심을

챙기는 것도 힘든 시대 이지만, 국경일 태극기를 다는 것도

이제는 애국입니다.

 

태극기를 다는 날 및 날씨, 위치, 시간, 구입, 오염 및 훼손된

태극기 처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올바른 태극기도 정리를 했습니다.

 

 

 

위 태극기 이미지 3개 중에서 올바른 것은 어느 것 일까요?

서로 비슷비슷하고 국경일이 아니면 잘 달지는 않아서 누구나 헷갈립니다.

정답은 우측에 있는 3번

 

태극기를 다는 날

 

올바른 태극기

 

1. [국경일에 관한 법률] 제 2조의 규정에 따른 국경일  

   3.1절(3월 1일), 제헌절(7월 17일), 개천절(10월 3일) 한글날(10월 9일)

 

2.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 제 2조의 규정에 따른 기념일 중

   현충일(6월 6일, 조기) 국군의 날(10월 1일)

 

3. [국가장법] 제 6조에 따른 국가장 기간(조기)

   정부가 따로 지정한 날

   지방자치단체가 조례 또는 지방의회의 의결로 정하는 날 

 

  

태극기 다는 시간

 

가정에서는 국경일 등에는 07:00부터 ~ 18:00까지 태극기를 답니다.

※ 태극기는 [대한민국국가법] 제 8조에 따라 매일. 24시간 달 수 있습니다.

 

 

태극기 날씨 문제

 

심한 비. 바람.(악천후) 등으로 국기의 존엄성이 훼손될 우려가 있는 경우

달지 않으며, 일시적인 악척후인 경우에는 날씨가 갠 후 달거나

내렸다가 다시 답니다.

 

 

  태극기 다는 위치

 

태극기 위치

 

밖에서 바라보아 대문(각 세대의 난간)의 중앙이나 왼쪽에 답니다.

주택구조상 부득이한 경우, 태극기 다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자녀와 함께 달 경우, 안전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태극기 중앙 달기

 

아파트 등 고층건물에서는 강풍 등으로 난간 등에 단 태극기가 떨어져

사고로 이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태극기 구입

 

각급 자치단체 민원실(시.군.구청 및 읍.면.동 주민센터 등)

인터넷 우체국 또는 인터넷 태극기 판매업체 등을 통해서 구입 가능

 

오염.훼손된 태극기는 각급 자치단체 민원실, 주민센터에

설치된 국기수거함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블로그 이미지

꿍스 브라더스

생활정보, 건강, 맛집, 다이소, 경제, 리뷰, 지하철, 시외버스, 공항리무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