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핵 실험으로 방사능 오염에 대해서 언론 및 방송에서 자주 나오지만
막상 좀 생소하면서 우리 주변하고는 동 떨어진 단어입니다.
하지만 방사선은 생활속에서 특히 의료검사에서는 자주 등장하는 단어로
방사능과 방사선의 개념 및 방사선 검사, 치료 종류 및 유효선량, 암유발, 안전성에 대해서
정리를 해 보겠습니다.
2016년 10월 27일(목) 국립중앙의료원 1층에서 x ray 촬영 준비를 하다
벽에 방사선에 대한 포스터가 있어서 포스팅을 해봅니다.
[방사선과 방사능은 다른 건가요?]
방사선은 방사성물질이 내는 에너지 흐름이고 방사능은 방사성 물질이 방사선을 방출하는
능력을 뜻합니다. 방사선은 우리의 생활 속에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습니다.
의료분야에서는 X선 촬영, CT촬영 등 질병 진단 및 암 치료에 사용되고
산업현장, 생물학적 연구, 종자개량, 해충방제, 지뢰탐지, 인공관절, 범죄수사, 골프공 등
우리가 미처 몰랐던 분야까지 광범위 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방사선 검사 많이 해도 괜찮은 가요? 안전성 논란은 ?]
[우리 주변 생활 속의 방사선량]
X-ray가 신체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선량을 발단선량(threshold dose)이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흉부x선 을 연속해서 500장 정도 촬영을 해야 발단선량에 이르게 됩니다.
CT 를 포함한 일반적인 X선 검사는 검사자가 받는 방사선량이 적어 신체적, 유전적
이상을 초래할 가능성은 적습니다.
비록 암을 발생시킬 위험이 있지만 100 밀리시버트 이하에서는 암 발생확률이 0.5% 이하로
떨어져 흡연, 감염, 음식 등 다른 발암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암 발생률보다 낮아
그 원인이 방사선 때문이라고 규명을 할 수 없습니다.
[방사선 검사는 꼭 해야 하나요?]
방사선 검사는 질병의 진단에 있어서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일반적으로 질병의 75%가
방사선 검사로 진단이 되며, 각종 조기 암 진단에는 방사선 검사는 필수적 입니다.
일반적인 X-ray 검사는 CT, MRI, 초음파 검사를 하지 전에 선행되는 검사로
방사선 검사 중 가장 기초적인 검사이며, 이 검사를 토대로 CT, MRI, 초음파와 같은
특수 검사를 결정하게 됩니다.
[CT 검사가 암을 유발한다던데 검사를 해도 괜찮을 까요?]
CT검사는 인체의 단층영상 및 입체 영상으로 각종 미세 병변의 발견이 가능하며
질환의 조기진단 및 치료계획을 수립하는 중요한 검사입니다.
검사를 함으로써 얻어지는 이익이 검사에 따른 위험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검사를 시행하게 됩니다. 한 번의 CT검사로 인해 받는 방사선량은 5~15 밀리시버트로
통상적으로 X선 촬영보다 환자선량이 많지만 한번의 CT검사로 인한 암 발생의 위험성은
흡연으로 인한 암 발생률보다 낮습니다.
[이상 국립중앙의료원 1층 영상의학과 "궁금한 방사선 이야기" 포스터를 참고해서
정리를 했습니다.]
'의학,건강,운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치료 경제적 공공부분 의료비 지원제도(폐암 긴급지원 중증질환) (0) | 2016.11.18 |
---|---|
암 치료 경제적 어려움 공공부분 의료비지원제도(소아 성인 암환자) (0) | 2016.11.17 |
국가 암환자 총진료비 건강보험적용 보편적 지원 제도 (0) | 2016.11.14 |
2016년 7월 임플란트 건강보험 65세 및 틀니 건강보험 혜택 확대 쉽고 상세한 설명 (0) | 2016.11.04 |
[A-system A-시스템] 가슴어깨 완력기 8년이상 사용한 내구성 (0) | 2016.08.10 |
[청상기가환 맥기천과립]오래가는기침 호흡이 곤란한 증상 가래가 끊어지지 않는 기침 (1) | 2016.08.04 |
기관지 천식약 흡입기 포스터[FOSTER]효능 효과 가격 사용방법 (0) | 2016.08.01 |